Search

움직임의 이동성과 안정성

생성일
2025/06/19 23:36
카테고리
Clinicals
움직임의 요소
안정성과 이동성

안정성

척추와 체간 근육의 협동 수축, 고유수용성 감각의 활성화, 신경계의 피드백 조절을 이용하여 외부의 교란에도 균형을 유지하고 신경근육적 통제를 통해 자세와 움직임을 조절하는 능력

안정성을 위한 감각 입력

1.
고유수용성감각
2.
전정감각
3.
시각

중추신경계의 통합과정

척수 : 감각 정보를 일차적으로 받아들이고, 반사적 움직임을 조절
대뇌겉질 : 감각정보를 통합하여 자세 유지, 균형, 움직임 계획 등 복잡한 명령을 전달
소뇌 : 근육의 협응, 정확한 타이밍, 동작의 부드러움을 조절하여 움직임의 안정성을 향상
기저핵 : 근긴장도 조절과 자세 유지에 관여
피라미드로(Pyramidal Tract, 추체로)

운동명령 경로

피라미드로
대뇌피질에서 척수까지 운동명령을 직접 전달하는 경로로, 수의적 움직임과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 수행
피라미드바깥로 소뇌, 기저핵 등에서 척수로 운동 명령을 보내는 경로로, 자세 조절과 근긴장도 조절에 관여
피라미드바깥로(추체외로)는 특정한 단일 신경로가 아닌 피라미드로를 제외한 모든 하행성 운동 경로를 포괄하는 집합적 개념

안정성의 방해 요인

1.
신체 내부
정적 구조물의 손상 또는 불안정
근육의 불균형 및 기능 저하
고유수용성 감각의 감소
연부조직의 활주 능력 저하
운동조절 및 신경계 기능 저하
2.
신체 외부
무게 중심과 기저면
환경적 요인

안정성의 분류

정적 안정성
신체가 정적인 자세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
동적 안정성
움직임 중에 신체가 균형을 유지하며 움직임을 조절하는 능력
뇌졸중 환자의 안정성 저하를 위한 중재 방법
근력약화
근긴장도 증가
감각결손
운동조절 장애
균형 및 체간조절 저하
보행패턴 이상
통증 및 관절 문제
근피로 및 체력저하
이동성의 정의